[경제/서평]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 지주형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 지주형 │ 책세상 경제학이 피부에 와 닿지 않는 건 현실을 담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해왔다. 원론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일어나고 시장균형이 일어나는 과정을 배우지만, 현실세계는 경제학 책 속 시장모형처럼 단순하지 않다. 한국사회만 ..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6.03
[사회]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 - 엄기호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 │ 엄기호 │웅진 지식하우스 강신주씨의 책들이 '인간'으로 살며 겪는 화두들에 대해 철학적 접근을 한다면, 엄기호씨의 책은 더 구체적으로 '한국사회'에서 '20대' 거기에 '대학생'이라는 맥락에서 그들을 바라보고 분석한다. 대학에서 강사를 하며 아이들과..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5.27
[인문] 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 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 │ 사계절 작년에 내가 이 책을 만났다면.. 내 삶이 조금은 달라져 있을 것만 같다. 정신적으로 메말랐던 시간을 누군가를 통해서도 채워지지 않았던 그때 이 책을 만났다면, 따분함과 지루함만 가득했던 인생에서 더 빨리 벗어날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그..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5.25
[경제] 약탈적 금융사회 - 제윤경,이헌욱 지음 약탈적 금융사회 │ 제윤경.이헌욱 │ 부키 갈수록 서점엔 경영.경제서가 넘쳐난다. 특히 미래 예측과 투자에 대한 책들은 은연중에 우리를 끊임없이 유혹한다. 그럴수록 진짜 현실을 냉정하게, 혹은 비참할 정도로 보여주는 책을 만나는 일이 쉽지 않다. 그렇지만 요즘 읽은 몇 권의 경..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5.13
[건강] 간헐적 단식법 - 마이클 모슬리, 미미 스펜서 간헐적 단식법 │ 마이클 모슬리, 미미 스펜서 │ 이은경 옮김 지난 3월, 한국방송에도 소개된 바 있는 '간헐적 단식법'. 저자 마이클 모슬리와 미미 스펜서는 그들의 삶과 건강을 바꾼 특별한 단식법을 소개한다. 보통 단식이라고 할 때, 일정 기간을 두고 음식 섭취를 아예 제한하는 것을..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5.08
[문학] 목로주점(L'Assommoir) - 에밀졸라, 유기환 옮김 도서관에서 빌려 읽은 후, 이번주 소장용 도서로 구입했다. 여러 이유가 있을테지만 제일 큰 이유는 '번역'때문이었다. 문학작품의 경우, 출판사마다 시리즈와 번역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책들을 비교하여 읽어보고 마음에 드는 책을 고르는것이 중요하다. 이 책의 경우엔 '열린책들'의 ..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4.07
[문학] 야간 비행 - 생떽쥐베리 야간비행 │ 생떽쥐베리 │ 이정문 옮김 안미영 그림 지난 주말, 산울림 소극장 '야간비행' 연극을 보지 못했다면 좋은 작품 하나를 지나칠 뻔 했다. 예전에 이 책을 읽었을땐 전체적 맥락을 읽어내지 못해 끝까지 읽지 못했는데, 이번의 경우엔 연극에서 눈여겨본 몇가지를 중심으로 읽..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3.31
[사회] 하류지향. 우치다 타츠루 하류지향 │ 우치다 타츠루 │ 박순분 옮김 2007년에 나온 책이지만, 6년이 흐른 지금의 한국 사회에서도 흔히 보게되는 풍경들을 분석하고있어 진지하게 일독했다. 책제목 '하류지향'은 90년대부터 나타난 일본의 학력저하 현상과 그 원인을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왜 학생은 공부를 거부..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3.16
[문학] 목소리 섬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목소리 섬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 바벨의 도서관 이 얼마만에 느껴본 짜릿한 느낌일까. 4편의 짧은 이야기들이 이렇게 재미있을 줄 몰랐다. 어린아이가 되어 옛날 이야기를 읽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이야기를 읽으며 영화처럼 그려지는 이미지들에 젖어있기도 했다. 이 책을 만나..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3.05
[에세이] 일본 에세이열전 - 후지와라 신야, 기타노 다케시 지난 2주동안 에세이에 빠져 허우적거리며 살았다. 그 첫 스타트가 기타노 다케시의 '죽기 위해 사는 법'. 한때 오토바이 사고로 죽을 뻔 했던 그는 그때의 경험을 담담하게 서술하며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 책 전체가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앞부분에서 사고 이후 죽음에 대한 그.. 뭐라도 읽자/독서노트 201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