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신문기사 및 칼럼

[스크랩/기사] 국가의 무거운 책임 드러내는 세월호 잠수사 죽음 - 경향신문

멜로마니 2016. 6. 19. 23:42



사설 읽기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6192056005&code=990101&nv=stand


..

세월호 참사 수색작업에 참여한 민간잠수사 김관홍씨가 3명의 아이들을 남긴 채 어제 발인식을 마지막으로 세상과 이별했다. 지난 17일 비닐하우스에서 숨진 김씨의 죽음은 2년 전의 세월호 참극을 이대로 과거의 일로 묻어둘 수 없다는 것을 웅변한다. 동시에 세월호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단지 유족들만이 아닌 살아남은 사람 모두의 부채임도 일깨운다.


헌법상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대통령과 정부는 스스로를 심각하게 되돌아봐야 한다. 고 김관홍 잠수사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심해 잠수작업의 위험성을 잘 알면서도 선체 수색작업에 참가해 시신 25구를 수습했다. 작업 중 물살에 휘말려 정신을 잃기도 했지만 응급치료 후 사흘 만에 다시 현장으로 달려가기도 했다.


민간잠수사 신분이던 그가 몸을 사리는 해경을 대신해 수십미터 바닷속으로 들어가 서로 부둥켜안은 채 숨진 아이들 시신을 차례로 건져올리는 동안 국가는 아무런 일도 하지 못했다. 국가를 대신해 실종자 수색작업에 참여한 그에게 돌아온 것은 만신창이가 된 몸과 치료비, 생활고뿐이었다. 정부는 수색작업 중 부상한 민간잠수사 39명 중 30명을 의사상자로 지정하는 것에 반대했다. 동료 민간잠수사의 죽음에 대한 책임까지 그들에게 떠넘겼다. 주변 동료에 따르면 김씨는 동료인 공우영씨가 선임이라는 이유로 해경 대신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는 모습을 보면서 많이 힘들어했다고 한다.


세월호 침몰 후 지금까지 국가는 단 한번도 국가다운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다. 생명을 구조하는 데 극도로 무능했으며 참사 후에는 민간에 책임을 떠넘기는 데 급급해했다. 진상규명 작업도 외면했다. 세월호 특조위는 그동안 ‘세금도둑’이라 부르는 여당추천 위원들에게 발목이 잡혀 아직 참사 원인은 물론 ‘대통령의 7시간’을 포함해 구조작업이 지연된 원인에 대해 제대로 조사하지 못했다. 이런 상태로 특조위 활동이 이달 말로 강제종료된다면 국가는 희생자들을 두 번 죽이는 것이다. 야당은 특조위 조사활동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한 세월호특별법 개정안을 20대 국회 1호 법안으로 제출했다. 반면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미 조사는 할 만큼 했다”며 특조위 활동 연장에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선체 인양도 안 하고 조사활동을 끝낸다면 누가 그 결과를 믿겠는가. 김씨는 지난해 12월 청문회에 나와 “(앞으로) 어떤 재난에도 국민을 부르지 마라. 정부가 알아서 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정부와 여당은 이제라도 고인의 죽음에 일말의 책임을 느낀다면 더 이상 진상규명을 가로막아선 안된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가슴아픈 소식.. 하늘에서는 마음 편하시도록 하루빨리 세월호 특별법이 실시되어야한다. 더이상 선량하고 착한 시민이 고통받는 일이 없도록 정권이 바뀌어야한다. 꼭 바꿔야한다...!!!!